반응형

우분투에는 기본적으로 Firefox가 깔립니다. 

 

파이어폭도 훌륭한 웹브라우져 이지만, 저는 크롬을 좋아 합니다. 

 

그래서 Chrome을 설치 해보겠습니다. 

 

데스크톱 버전을 설치하셨다는 전제 하에서 설치 합니다. 

 

www.google.com/intl/ko/chrome/

 

위주소에 접속합니다. 접속하면 위의 이미지 처럼 나옵니다. 

 

다운로드 받으시면 됩니다. 

 

 

위의 내용중에서 당연히 우리는 현재 우분투에 설치할 계획이므로 deb 파일을 다운로드 합니다. 

 

그리고 동의 및 설치를 하면 저장할건지 실행할건지 묻습니다. 

 

저장하기를 선택 하십시오.

 

그러면 대충 저런 모양이 됩니다. 

 

빨간색 동그라미의 폴더 모양 아이콘을 눌러서 탐색기를 엽니다. 

 

위와 같이 열립니다.

혹시 안열리면 왼족의 빨간색동그라미에 있는 모양과 비슷한 아이콘을 한번 눌러 주시면 나옵니다. 

 

오른쪽 마우스를 클릭하고, Open in Terminal을 선택 하십시오.

 

 

요렇게 될 겁니다. 

 

sudo apt-get install libxss1 libgconf2-4 libappindicator1 libindicator7

필요한 라이버러리 몇가지를 설치 해줍니다. 

 

sudo에서 비밀번호를 묻습니다. 

 

비밀번호 넣으시면 됩니다. 

 

중간에 Y/n 문으면 Y로 답하시면 됩니다. 

 

우선 ls 를 통해서 해당 파일 크롬 설치 파일이 있는 지 보겠습니다. 

 

ls

위 명령어를 치시면 됩니다. 

 

혹시나 위와 같이 안나오면

 

cd ~/Downloads

명령어를 치셔서 이동하시면 됩니다. 

 

또 다른 이름으로 저장하셔서 다른 폴더에 넣으셨다면 해당 폴더로 이동 하십시오.

 

sudo dpkg -i google-chrome-stable_current_amd64.deb

위 명령어를 실행하면 크롬이 설치 됩니다. 

 

그리고, 마찬가지로 비밀번호를 물으면 비밀번호 넣으시고, Y/n 물으면 Y로 답변하시면 됩니다. 

 

이제 최초로 실행 해보겠습니다. 

 

저는 처음에 chrome를 쳤는데 실행이 안됩니다. 

 

T.T

 

google-chrome

위와 같이 치시면 실행 됩니다.

 

매번 터미널 열고 저렇게 실행하려면, X 는 필요가 없겠지요

 

빨간 동그라미를 클릭 하십시오.

 

요거 비슷하게 나올껍니다. 저는 이글을 쓸려고 크롬을 검색해서 저렇게 나오는 것이 실제로는 아마 크롬이 없을 겁니다. 

 

Search your computer에서 chrome 를 다 쳐도 되지만 ch 정도만 입력하면 

 

위와 같이 나옵니다. 

 

저기서 Google Chrome를 끌어서 왼쪽 막대기의 프로그램들 사이에다가 놓습니다. 

 

 

대충 이런느낌으로 넣으시면 됩니다. 

 

위와 같이 크롬이 휼륭하게 등록 되었습니다. ^^

 

다음 부터는 저 아이콘을 눌러서 실행하시면 됩니다.

 

새해 복많이 받으십시오.

반응형
반응형

음 VMWARE 설치 문서 부터 적었어야 했는데 간단하게 적겠습니다. 

 

VMware Workstation Player 다운로드 | VMware | KR

 

위 사이트에 가셔서 다운로드하고 다음 다음 눌러서 설치 하시면 됩니다. 

 

라이센스는 우리는 공부하는 용도니깐 무료 입니다. 

 

상업적으로 사용하실 경우 구매를 하셔야 합니다. 

 

이제 위에서 보시는 바와 같이  VMWARE 설치가 되어 있습니다. 

 

오늘은 16.04를 설치할 계획입니다. 

 

다음 글에서는 18.대도 설치해보겠습니다. 

 

저는 데스크톱으로도 쓰고 서버로도 사용할꺼여서 데스크톱을 받겠습니다. 

 

데스크톱 환경을 설치하려니깐 또 뭔가를 깔아야 하더라구요.

Ubuntu 16.04.7 LTS (Xenial Xerus) (kakao.com)

 

Ubuntu 16.04.7 LTS (Xenial Xerus)

Select an image Ubuntu is distributed on two types of images described below. Desktop image The desktop image allows you to try Ubuntu without changing your computer at all, and at your option to install it permanently later. This type of image is what mos

mirror.kakao.com

 

16.04 다운로드 사이트에서 접속 하십시오.  우분투 공식 사이트는 너무 느려서 kakao의 미러 사이트 입니다. 

 

혹시 공식 사이트에서 다운로드 하실 분들은  Ubuntu 16.04.7 LTS (Xenial Xerus) 이주소를 사용하시면 됩니다. 

 

위와 같이 나옵니다. 저기서 64-bit PC(AMD64) desktop image를 클릭하십시오 서버는 server install 이미지를 클릭 하시면 됩니다. 

 

그러면, 다운로드가 되기 때문에 좀 기다리셔야 합니다. 

 

저는 2시간 정도 걸린다네요 T.T

 

그래서 카카오 미러로 바꿨습니다. 한 3분정도 걸리네요 ^^

 

다시 VMWARE로 돌아와서 

 

 

Create a New Virtual Machine를 클릭 하십시오.

 

요렇게 나옵니다. 위 그림에서 현상태로 두시고, Browse.. 를 클릭 합니다. 

 

그리고, 이번에 받은 iso를 선택 하십시오.

 

저는 다운로드 폴더에 받아서 

 

위와 같이 선택 하시면 됩니다. 

 

 

 

우분투 16.04.7 버전이 발견 되었다고 나오네요 ^^

 

Next 를 누르십시오

 

위에 Full Name에 영어로 이름이나 볆명을 적으시면 됩니다. 

 

그리고, user name에는 사용자 계정을 적으십시오.

 

Password는 적당하게 confirm 까지 넣으시고, Next 클릭 합니다. 

 

저는 C:\dev\ 아래에 뭔가를 설치하는 것을 좋아해서 위와 같이 했습니다. 

 

원하는 설치 폴더를 선택하거나 만드셔서 넣으시면 됩니다. 

 

그리고 Next 누르십시오.

 

 

저는 개발 공부용으로 사용할 것이라 100GB 정도의 디스크를 할당 했습니다. 

 

기본적으로 맛보기를 하시려면 20GB정도네요.

 

수정하시거나 그대로 쓰실것이면, 저는 싱글 파일 보다는 분할된 파일을 좋아하는데 싱글 파일도 나브지는 않다록 생각 됩니다. 

Next 누르시면 됩니다. 

 

 

 

기본적으로 셋팅된 리눅스가 나오는데, 저는 Customize Hardware를 이용해서 조금 수정 하겠습니다. 

 

요렇게 되어 있습니다. 나중에 얼마든지 수정 하면 되겠지만 귀찮기 때문에 미리 수정 하겠습니다. 

 

메모리는 16GB  정도 Core는 4 Core 정도를 할당 하겠습니다. 

 

지금은 2Core에 4GB 정도 되네요.

 

적당하게 수정 하시고 Close 누르시면 됩니다. 

 

그리고, 이제 Finish를 눌러서 우분투를 설치 하겠습니다. 

 

처음 머신이 뜨면서 이렇게 나옵니다. 

 

하지만 Vmware Tools는 나중에 설치해도 되기 때문에 나중에 설치 하겠습니다. 

 

Remind Me Later Click 하시면 됩니다. 

 

 

파일을 카피하고설치를 하고 있습니다. 

 

새로 구매한 컴퓨터가 좋기는 좋습니다. ^^

 

전혀 버벅거리지 않네요 ^^

 

CPU는 i9 10세대 10850K에 메모리 64GB를 달아 놨더니 빵빵 합니다. ^^

 

설치도 정말 빠릅니다. 벌써 끝났습니다. ^^

 

앞에서 설정한 비밀번호로 잘 로그인이 됩니다. 

 

로그인 하시면 위와 같은 화면으로 나옵니다. 

 

앞에서 설치하지 않은 VMware Tools를 설치하기 위해서 

 

오른쪽 상단의 톰니바퀴를 클릭 하십시오.

 

 

Shutdown 을 클릭 하셔서 리눅스를 종료 합니다. 

 

그러면 VMware도 같이 종료 됩니다. 

 

시작 누르시고 Vmware를 실행 하십시오.

 

그러면, 제가 캡쳐를 놓쳐서 T.T

 

VMWARE Tools를 설하냐고 물으면 설치하신다고 답변을 하시면 됩니다. 

 

오늘 설치는 여기까지하고 몇가지 설정은 다음 글에서 진행 하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리눅스/Linux Windows에 우분투(Ubuntu) 리눅스(Linux) 를 설치 해보자 :: 가야태자의 IT이야기 (tistory.com)

 

리눅스/Linux Windows에 우분투(Ubuntu) 리눅스(Linux) 를 설치 해보자

지난 번 글에서 리눅스를 어떻게 설치 할 것인가 라는 이야기를 했습니다. 오늘은 가장 간단하게 리눅스를 설치할 수 있는 방법을 알려 드립니다. Windows Sub System for Linux 소위 WSL을 우분투로 설치

talkit.tistory.com

우분투 리눅스를 윈도우즈에 WSL로 설치하는 법이 궁금하시면 위의 글을 참조 하십시오. 

 

 

 

 

 

반응형
반응형

출처 : https://ko.wikipedia.org/wiki/%ED%84%B1%EC%8A%A4

 

오늘의 글에서는 리눅스를 설치하지 않습니다. ^^

오늘은 어떤 방식으로 리눅스 기기를 얻을 수 있을까라는 개념적인 글입니다. 

첫번재로 가장 일반적인 방법은 PC에 리눅스를 설치 하는 것입니다. 

두번재로 Windows 10의 WSL을 설치 하는 것입니다. 

세번째로, 첫번재와 비슷하지만, VMWARE나 Virtual Box등의 가상 시스템에 설치 하는 것입니다. 

네번째로, 웹호스팅을 받는 것입니다. 이 때는 테스트는 할 수 있겠지만, root 관련 권한은 테스트하지 못합니다. 

다섯번재로, VPS 호스팅을 받는 것입니다. 

세번째에서 깔았던 VMWARE나 Virtual Box로 설치한 또는 다른 VM 시스템을 이용해서 설치한 리눅스를 시간/일/월 비용을 내용 사용하는 것입니다. 

첫번재 부터 세번재 까지는 돈이 들지는 않습니다. 물론 PC를 구매하거나, 램을 늘리거나 디스크를 늘리기 위해서 비용이 발생할 수는 있습니다. 

하지만, 네번째와 다섯 번재는 비용이 발생 합니다. 

웹 호스팅을 경우 카페24를 기준으로 500원에서 10만원까지 월 호스팅 비용이 듭니다. 

VPS 호스팅도 잘 찾아 보면 1000원짜리도 있습니다만, ^^ VPS의 성능 CPU와 램 HDD의 용량 등에 따라서 천차 만별입니다. 

그래서, 다음 글에서는 Virtual Box 에 리눅스를 설치하는 글을 한번 적어 보겠습니다.

그 다음으로 VPS를 분양 받아서 어떻게 활용하는지 까지도 한번 글을 적어 볼 계획 입니다. 

 

 

반응형
반응형

리눅스에 접속해서 무었을 할 것인가?

talkit.tistory.com/585

talkit.tistory.com/584

리눅스 사용자 추가하기 다음 내용이 되겠습니다. 585는 리눅스 사용자 삭제 하기 입니다. 

오늘은 제가 어제 삭제한 아이디를 살려 놨습니다. 

해당 아이디의 비밀번호를 변경해 보겠습니다. 

비밀번호 명경은 

passwd [사용자계정]

제가 []로 묶은 이유는 생략해도 된다는 이야기 입니다. 

passwd 하고 엔터를 치면 지금 로그인 해 있는 계정의 비밀번호를 변경 할 수 있습니다. 

일단, 저는 root에서 userid의 계정을 변경할 예정이어서 

passwd userid 명령어를 통해서 진행 하겠습니다. 

userid 사용자의 비밀 번호 변경 중
새  암호:
새  암호 재입력:
passwd: 모든 인증 토큰이 성공적으로 업데이트 되었습니다.

요렇게 암호를 두번 입력해주시면, 비밀번호가 변경 됩니다. 

이제 제가 접속 해보겠습니다. 

[root@server01 ~]# ssh userid@localhost
userid@localhost's password:
Last login: Mon Nov 23 16:53:19 2020 from localhost
[userid@server01 ~]$

잘 접속이 됩니다. ^^

아까 root에서 못한 passwd 명령어를 해보겠습니다. 

자기 패스워드 바꾸기 입니다. 

관리자가 지정해준, 비밀번호를 다른 비밀번호로 변경할 수 있습니다. 

명령어는

passwd 입니다. 

[userid@server01 ~]$ passwd
userid 사용자의 비밀 번호 변경 중
userid에 대한 암호 변경 중
(현재) UNIX 암호:
새  암호:
새  암호 재입력:
passwd: 모든 인증 토큰이 성공적으로 업데이트 되었습니다.

실제로 해보니까 저렇게 나오는 군요 ^^

login as: userid
userid@localhost's password:
Last login: Mon Nov 23 16:57:02 2020
/usr/bin/xauth:  file /data03/userhome/userid/.Xauthority does not exist
[userid@server01 ~]$

새로운 비밀번호로도 잘 접속이 됩니다. ^^

passwd 명령어는 다음에 한번 더 고급 명령어를 한번 적어 보겠습니다. 

일반적으로 처음 시작 할때는 옵션이 없이 passwd 또는 passwd 사용자계정명 명령어로 충분 합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반응형

리눅스에 접속해서 무었을 할 것인가?

talkit.tistory.com/584

 

리눅스/Linux 사용자 추가하기 adduser/useradd

리눅스에 접속해서 뭘 할 것인가? 오늘은 사용자 계정을 만들어 보겠습니다. 리눅스를 직접 설치를 하셨다면, root 계정하나, 사용자 계정 하나를 생성 하였을 겁니다. 하지만, VPS등 호스팅으로

talkit.tistory.com

오늘은 지난 번에 만든 사용자를 삭제 해 보겠습니다. 

몇가지 옵션이 있기는 하지만, userdel은 -r 옵션만 설명을 하겠습니다. 

-r 은 home 디렉토리와 메일 pool 디렉토리를 같이 지워 줍니다. 

중요 계정이어서 접속만 못하게 하려고, 지우는 경우도 있고, 급하게 백업을 못해서 일단 지워 두는 경우는

-r 없이 

userdel 계정명

으로 일단 삭제가 가능합니다. 

뒤에 동일한 계정명으로 계정을 만드실때 해당 폴더가 존재한다는 경고(?)를 보게 됩니다. 

일단 전는 완전히 삭제 할 계획이므로,

userdel -r 계정명을 이용해서 계정을 삭제를 진행 하겠습니다. 

실제 명령어는 

지난 번에 만든 계정이 userid 였으므로, 

userdel -r userid 

명령어를 내리면 됩니다. 

ls /data03/userhome/userid
ls: cannot access /data03/userhome/userid: 그런 파일이나 디렉터리가 없습니다

삭제 되었기 때문에 위오 ㅏ같이 그런 파일이나 디렉토리가 없다고 나옵니다. 

오늘은 여기 까지 입니다. 

사용자를 만들고 삭제를 했습니다. 

다음의 사용자의 비밀번호를 변경해 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반응형

리눅스에 접속해서 뭘 할 것인가?

오늘은 사용자 계정을 만들어 보겠습니다. 

리눅스를 직접 설치를 하셨다면, root 계정하나, 사용자 계정 하나를 생성 하였을 겁니다. 

하지만, VPS등 호스팅으로 받으셨다면, root 계정을 기본적으로 줍니다. 

그리고, VPS를 만들거나 할때 지정을 하거나, 업체에서 기본 패스워드를 하나 만들어서 사용자에게 줍니다. 

그러면, root로 접속하는 것 저는 좋아합니다. ^^ 귀찮아서 ㅎㅎㅎ

하지만, 보안상 별로 안좋습니다. 

그래서 일반 사용자를 하나 만들어서 사용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이 때 사용하는 명령어가 adduser 또는 useradd 입니다. 

우선, root 권한으로 접속 하십시오.

[root@server01 ~]#

이렇게 프롬프트가 뜨면 이제 시작 입니다. 

우선 ls 명령어로 add가 포함 되는 슈퍼유져 명령어를 찾아 봤습니다. 

adduser가 메인인지 useradd가 메인이지가 가물가물 해서 말입니다. 

[root@server01 ~]# ls -al /usr/sbin/*add*

lrwxrwxrwx. 1 root root      7 10월  7  2019 /usr/sbin/adduser -> useradd
-rwxr-xr-x. 1 root root 137616  8월  9  2019 /usr/sbin/useradd

useradd 가 메인이고 adduser이 링크네요 ^^

습관적으로 저는 adduser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결론은 두가지다 된다는 소리 입니다. 

일단 기본적으로 그냥 아이디를 만드는 법은 

adduser 사용자아이디

입니다. 그래서

adduser userid

를 실제로 만들어 보겠습니다. 

ls -al /home/userid 

이렇게 쳐보시면 실제로 계정이 생성되어 있는지 보실 수 있습니다. 

[root@server01 ~]# ls -al /home/userid
합계 16
drwx------   3 userid userid  92 11월 19 16:24 .
drwxr-xr-x. 13 root   root   148 11월 19 16:24 ..
-rw-r--r--   1 userid userid  18  8월  8  2019 .bash_logout
-rw-r--r--   1 userid userid 193  8월  8  2019 .bash_profile
-rw-r--r--   1 userid userid 231  8월  8  2019 .bashrc
-rw-r--r--   1 userid userid 334 10월 30  2018 .emacs
drwxr-xr-x   4 userid userid  39 10월  7  2019 .mozilla

이렇게 잘 만들어져 있습니다. 

adduser 할때 주로 사용하는 옵션 몇가지를 설명 드리겠습니다. 

-G -b 정도가 되겠습니다. 

-G 는 사용자 그룹을 따로 지정해 줄대 사용합니다. 

-b 는 홈 디렉토리를 기본 홈디렉토리외에 사용할대 사용가능 합니다. 

userdel -r userid

우선 옵션을 사용하기 위해서 저 명령어를 통해서 방금 만들었던 아이디를 지웠습니다. 

세가지를 동시에 사용해 보겠습니다. 

CentOS는 기본적으로 useradd를 하면, 보통 gid를 새로 하나씩 생성 합니다. 

그래서 이번에는 gid를 기존 있는 놈을 지정해서 만들어 보겠습니다. 

대충 1000번 정도가 존재해서 ^^ 1000번으로 해보겠습니다. 

그리고, 홈 디렉토리를 /data01/userhome/userid 로해서 만들어보겠습니다. 

mkdir -p /data01/userhome

을 이용해서 userhome 디렉토리를 먼저 만들어 두었습니다. 

adduser -G 1000 -b /data03/userhome/userid  userid

위 명령어로 실제 실행을 해보겠습니다. 

사용자 아디가 잘 생성되었습니다. 

[root@server01 ~]# ls -al /data03/userhome/userid
합계 16
drwx------ 3 userid userid  92 11월 19 16:39 .
drwxr-xr-x 3 root   root    20 11월 19 16:39 ..
-rw-r--r-- 1 userid userid  18  8월  8  2019 .bash_logout
-rw-r--r-- 1 userid userid 193  8월  8  2019 .bash_profile
-rw-r--r-- 1 userid userid 231  8월  8  2019 .bashrc
-rw-r--r-- 1 userid userid 334 10월 30  2018 .emacs
drwxr-xr-x 4 userid userid  39 10월  7  2019 .mozilla

요렇게 생성되고 보여 드리지는 못하지만, 

vi /etc/group 파일을 열어 보시면, 

1000이라는 그룹의 맨 마지막에 userid가 추가 된 것을 보실 수 있을 겁니다. 

감사합니다. 

다음 블로깅은 passwd 명령어로 찾아 뵙겠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리눅스에 접속해서 뭘 할 것인가?

지난번 글에서

파일 목록을 확인하고

talkit.tistory.com/581?category=147034

폴더를 만들어 보았습니다.

talkit.tistory.com/582

이제 작성한 폴더로 들어가 보겠습니다.

cd [이동하고싶은디렉토리]

제가 대괄호로 써놓은 이유는 cd 만으로 뭔가 의미 있는 명령어 이기 때문입니다.

리눅스에서 아무 생각 없이 cd를 치고 엔터를 치시면

계정의 홈(Home) 폴더로 이동 합니다.

자 실습을 한번 해보겠습니다.

cd
pwd

위오 와 같이 칩니다.

[userid@server01 ~]$ cd
[userid@server01 ~]$ pwd
/home/userid

위와 같이 나옵니다.

ls

명령어로 지난 번에 만드셨던 디렉토리로 이동해 보겠습니다.

ls
cd test1
pwd

위와 같이 쳐보시면 됩니다.

[userid@server01 ~]$ ls
perl5  test1
[userid@server01 ~]$ cd test1
[userid@server01 test1]$ pwd
/home/userid/test1

위와 같이 이동 할 수 있습니다.

지난 번 강좌에서 test1/test2 만드신거 기억 나시죠.

cd /home/userid/test1/test2
pwd

위와 같이 쳐보십시오
앞에서는 하나 하나 이동 했지만, 저렇게 한꺼번에 이동 하실 수 있습니다.

그리고, 리눅스에서는 짜랍게 단어를 치시고, tab키를 치시면 디렉토리이 유일 할경우는 바로 타이핑해주구요.

동일한게 있을 경우는 보여 줍니다.

Tab 키를 잘 활용하시면 좀 더 쉽게 이동하고 리스팅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pwd 는 현재 디렉토리를 나타내는 명령어 입니다.

위에서 풀경로로 이동하는 이유 중에 하나는 주로 두개의 디렉토리에서 작업을 하신 다면

cd  -

cd - 명령어를 기억 하십시오.

cd - 명령어는 바로 이전 디렉토리로 이동 시켜 줍니다.

mkdir -p ~/test1/test2/test3/test4/test5
cd ~/test1/test2/test3/test4/test5

어제 실습을 따라 하셨으면 디렉토리가 있겠지만 없으면 mkdir -p 명령어로 디렉토리를 만드십시오.

그리고 저렇게 이동 합니다.

그리고 나서 홈으로 돌아 오려면, 제일 먼저 설명드린 cd 명령어를 그냥 한번 치시면 됩니다.

그리고, 또한 cd - 명령어로 돌아 오실 수 있습니다.

제가 중간에 설명을 드렸어야 하는데 하위데릭토리만 가고, 상위 디렉토리로 가는 방법을 설명을 안드렸네요.

cd  ..

입니다. cd .. 하면 상위 디렉토리로 이동 합니다.

아까 test5번가지 들어갔다가 위로 이동 하려면 cd .. 을 다번 쳐야 하느냐

그것 아닙니다. 연결해서 치시면 됩니다.

cd  ../../../../../../

이렇게 이동 하시면 됩니다.

그리고 중간에 생뚱맞게 ~ 표시가 나왔습니다. 저건 계정의 홈디렉토리를 표시하는 것이고 영어/한글로 틸드라고 읽습니다.

cd 로 이동이 가능하지만, ~를 쓰면 /home/계정명 정도를 생략할 수 있습니다.

이제 디렉토리를 이동하고,

만들고, 목록을 확인 하는데까지 왔습니다.

열심히 또 갈길을 가보시자구요.

감사합니다.

반응형
반응형

지난 글에서 리눅스에서 파일 목록 확인 하기에 대해서 말씀 드렸습니다. 

talkit.tistory.com/581

ls 명령어에 대한 글은 위 글에서 확인하시면 됩니다. 

오늘 이야기 하고자 하는 mkdir 은 윈도우즈에서는 폴더 리눅스에서도 폴더라고 많이 하지만, 디렉토리라는 용어도 익숙 합니다. 

그래서 디렉토리는 만드는 make directory 라는 말의 약자로 보시면 됩니다. 

mkdir 디렉토리명

위와 같이 사용하시면 됩니다. 

Windows 10의 cmd에서도 비슷하게 사용할 수 있네요.

한번 실습을 해보겠습니다. 

실습 내용은 

mkdir test1
ls

위와 같이 명령을 실제로 내려 보도록 하겠습니다. 

[userid@server01 ~]$ mkdir test1
[userid@server01 ~]$ ls
perl5  test1

위와 같이 보입니다. 

mkdir은 정말 간단한 명령어여서 여기까지 입니다. 

하지만, 제가 디렉토리를 안만들었는데 

test1/test2/test3/test4/test5 

위와 같은 디렉토리를 만드려면 어떻게 해야할까요.

mkdir test1
cd test1
mkdir test2
cd test2
mkdir test3
cd test3
mkdir test4
cd test4
mkdir test5

 위 처러하면 만들어 집니다. ^^

그런데 mkdir 명령어로 위와 같이 만드실 수 있습니다. 

mkdir -p 여러개의폴더들

위와 같이 사용합니다. -p 옵션을 이용해서 가능 합니다. 

실제로 한번 해보겠습니다. 

mkdir -p test1/test2/test3/test4/test5
ls -R

위와 같이 실제로 실습을 해보겠습니다. 

[userid@server01 ~]$ mkdir -p test1/test2/test3/test4/test5
[userid@server01 ~]$ ls -R
.:
perl5  test1

./perl5:

./test1:
test2

./test1/test2:
test3

./test1/test2/test3:
test4

./test1/test2/test3/test4:
test5

./test1/test2/test3/test4/test5:

위와 같이 잘 만들어졌습니다. 

오늘은 디렉토리 만들기 mkdir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반응형

저는 초등학교 3학년 때부터 컴퓨터를 접하고 컴퓨터를 이용해 왔습니다.

거의 30이상을 컴퓨터를 사용했었네요 ^^

그중에서 OS가 중요하다는 사실을 알게 된건 대학교에 입학하면서 부터 입니다.

어릴때는 그냥 게임용 컴퓨터 GW 베이직 뭐 이런 언어들을 가지고 노는 재밍에 컴퓨터를 했던 것 같습니다.

그런데, 우리가 사용했던 OS 가 DOS였습니다.

DOS를 사용하시분들은 아실 껍니다. dir

지금도 도스는 윈도우즈 상에 남아 있습니다.

cmd 라는 명령어로요. 거기서 dir 명령어가 있죠 그것은 현재 디렉토리에 있는 파일 목록을 보여 줘라 입니다.

VMWARE나, VirtualBox에 리눅스를 깔았다.

그런데 뭘해야 하나?

질문하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우선 디렉토리에 무슨 파일이 있는지 부터 봐야겠지요.

리눅스에서 도스의 dir 대신에 사용하는 명령이 ls 이니다.

ls가 참 강력한 도구이기도 한데

오늘은 그냥 파일 목록을 읽는 방법만 알려 드리겠습니다.

다음에 리눅스를 어떻게 깔고 어떻게 접속하는지도 한번 적어 보겠습니다.

그선 그냥

ls

그냥 쳐 보십시오.

[userid@server01 ~]$ ls
perl5

새로운 계정을 하나 만들었더니 원래는 아무것도 없어야하는데 perl5 라는 폴더가 하나 있습니다.

아무 옵션 없이 ls 치면 숨김 파일을 제외하고 권한 있는 파일들을 보여 줍니다.

ls -a

ls -a 명령어는 숨어 있는 파일까지 모두 보여 줍니다.

[userid@server01 ~]$ ls -a
.  ..  .bash_history  .bash_logout  .bash_profile  .bashrc  .cache  .config  .emacs  .local  .mozilla  perl5

위와 같이 보입니다.

리눅스에서 .으로 시작하느 파일들은 숨김 파일 입니다.

그리고, 파일의 생성 시간과 속성등 삭제 정보를 보려면

ls -l

입니다.

위 명령어는 숨김 파일을 제외하고 세로로 상세정보를 보여 줍니다.

[userid@server01 ~]$ ls -l
합계 0
drwxrwxr-x 2 userid userid 6 10월 17 00:08 perl5

실제로 해보면 위와 같이 나옵니다. 10월 17일 00:08분에 생성된 폴더 이구요. userid 이라는 아이디와 그룹에 할당되어 있고,
drwxrwxr-x 는

첫번째 d 는 디렉토리라는 뜻입니다.
두번째 부터 세자리는 이파일 주인의 권한 입니다.
읽고쓰고실행하고가 가능 합니다.

네번째자리부터일번째자리까지는 이 파일의 권한을 가진 그룹의 권한입니다.
역시 읽고쓰고실행하고가 가능합니다.

여덟번째부터 열한번째자리까지는 손님의 권한입니다. 이파일과 하등 상관이 없는 분도 읽고 실행은 됩니다.

즉, 쓰고 삭제는 안됩니다.

파일 권한 설명은 이정도 하구요. 다음에 chmod라는 명령어를 설명할때 한번 더 언급하겠습니다.

그럼 아까 처럼 숨어 있는 파일은 어떻게 상세 정보를 보나요?

이런 의문이 드는 분은 저밖에 없으려나요 ㅎㅎㅎ

ls -al

ls -al 입니다. a와 l 을 함께 사용하시면 됩니다.

[userid@server01 ~]$ ls -al
합계 20
drwx------   7 userid userid 169 10월 17 00:09 .
drwxr-xr-x. 12 root    root    134 10월 17 00:08 ..
-rw-------   1 userid userid  12 10월 17 00:09 .bash_history
-rw-r--r--   1 userid userid  18  8월  8  2019 .bash_logout
-rw-r--r--   1 userid userid 193  8월  8  2019 .bash_profile
-rw-r--r--   1 userid userid 231  8월  8  2019 .bashrc
drwxrwxr-x   3 userid userid  18 10월 17 00:08 .cache
drwxrwxr-x   3 userid userid  18 10월 17 00:08 .config
-rw-r--r--   1 userid userid 334 10월 30  2018 .emacs
drwxrwxr-x   3 userid userid  19 10월 17 00:08 .local
drwxr-xr-x   4 userid userid  39 10월  7  2019 .mozilla
drwxrwxr-x   2 userid userid   6 10월 17 00:08 perl5

위와 같이 나옵니다.

위의 per5하고 다른 점은 첫번째 자리가 -인 아이는 파일입니다.

이제 정렬을 해보겠습니다.

지금 현재 아무 옵션도 안주면, 알파벳 순으로 정렬 됩니다. 저걸꺼구로 정렬 하고 싶으면

r 옵션을 주시면 됩니다.

ls -alr

실제로 실행 해보면


[userid@server01 ~]$ ls -alr
합계 20
drwxrwxr-x   2 userid userid   6 10월 17 00:08 perl5
drwxr-xr-x   4 userid userid  39 10월  7  2019 .mozilla
drwxrwxr-x   3 userid userid  19 10월 17 00:08 .local
-rw-r--r--   1 userid userid 334 10월 30  2018 .emacs
drwxrwxr-x   3 userid userid  18 10월 17 00:08 .config
drwxrwxr-x   3 userid userid  18 10월 17 00:08 .cache
-rw-r--r--   1 userid userid 231  8월  8  2019 .bashrc
-rw-r--r--   1 userid userid 193  8월  8  2019 .bash_profile
-rw-r--r--   1 userid userid  18  8월  8  2019 .bash_logout
-rw-------   1 userid userid  12 10월 17 00:09 .bash_history
drwxr-xr-x. 12 root    root    134 10월 17 00:08 ..
drwx------   7 userid userid 169 10월 17 00:09 .

위와 같이 나옵니다. 꺼꾸로 정렬 되었습니다. ^^

이번에는 시간순으로 정렬 하기 입니다.

ls -alt

t 옵션을 주면 됩니다.

최근 시간이 먼저 출력 됩니다.

[userid@server01 ~]$ ls -alt
합계 20
drwx------   7 userid userid 169 10월 17 00:09 .
-rw-------   1 userid userid  12 10월 17 00:09 .bash_history
drwxrwxr-x   2 userid userid   6 10월 17 00:08 perl5
drwxrwxr-x   3 userid userid  19 10월 17 00:08 .local
drwxrwxr-x   3 userid userid  18 10월 17 00:08 .config
drwxrwxr-x   3 userid userid  18 10월 17 00:08 .cache
drwxr-xr-x. 12 root    root    134 10월 17 00:08 ..
drwxr-xr-x   4 userid userid  39 10월  7  2019 .mozilla
-rw-r--r--   1 userid userid  18  8월  8  2019 .bash_logout
-rw-r--r--   1 userid userid 193  8월  8  2019 .bash_profile
-rw-r--r--   1 userid userid 231  8월  8  2019 .bashrc
-rw-r--r--   1 userid userid 334 10월 30  2018 .emacs

위와 같이 나옵니다.

자 아까 꺼구로 정렬은 뭐라고 말씀 드렸죠?

r 입니다.

ls -alrt

그래서 최근 시간이 젤 마지막으로 가게 하려면, 위와 같이 치시면 됩니다.

[userid@server01 ~]$ ls -alrt
합계 20
-rw-r--r--   1 userid userid 334 10월 30  2018 .emacs
-rw-r--r--   1 userid userid 231  8월  8  2019 .bashrc
-rw-r--r--   1 userid userid 193  8월  8  2019 .bash_profile
-rw-r--r--   1 userid userid  18  8월  8  2019 .bash_logout
drwxr-xr-x   4 userid userid  39 10월  7  2019 .mozilla
drwxr-xr-x. 12 root    root    134 10월 17 00:08 ..
drwxrwxr-x   3 userid userid  18 10월 17 00:08 .cache
drwxrwxr-x   3 userid userid  18 10월 17 00:08 .config
drwxrwxr-x   3 userid userid  19 10월 17 00:08 .local
drwxrwxr-x   2 userid userid   6 10월 17 00:08 perl5
-rw-------   1 userid userid  12 10월 17 00:09 .bash_history
drwx------   7 userid userid 169 10월 17 00:09 .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정말 기초부터 한번 훌터 볼 계획입니다.

반응형
반응형

 

Geo Server 는 유명한 Open Source GIS 서버 입니다 

그런데 최근에 제가 조금 사용을 했는데 패스워드를 잃어 버렸습니다. 

처음 설치 하면 매뉴얼을 보시면서 하시니까 ^^ 잘 알겠지만, 한번 변경해 놓고 나니 잃어 버렸습니다. 

이번에는 쉬운놈으로 변경 해 두었습니다 ^^

기본 패스워드와 아이디는 admin / geoserver 입니다. 

왼쪽 메뉴 하단에 보안 란에 보면 사용자,그룹,역할 이라는 메뉴가 있습니다 클릭하시면 됩니다. 

위 그림에서 사용자 이름 밑에 있는 admin을 클릭 하십시오.

위와 같이 나옵니다. 저기서 비밀번호 두번 입력하시고

스크롤을 내리시면 저장 있습니다. 

저장을 누르시면 됩니다. 

변경 되어서 잘 로그인 됩니다. 

감사합니다. 

다음에 기회가 되면 저도 Geo Server 설치 문서를 적어 보겠습니다. 

이미 설치를 했기 때문에 ^^

반응형
반응형


간단하게 Sendmail을 설정하는 방법을 맨날 까먹어서 여기다 적어 놓습니다.


오늘 한시간정도 삽질 했습니다. T.T


여러분들은 삽질 안하시기를 빌면서 ^^;;



0. sendmail.mc 파일을 열기 

vi /etc/mail/sendmail.mc 

1. 아래 처럼 수정  

TRUST_AUTH_MECH(`EXTERNAL DIGEST-MD5 CRAM-MD5 LOGIN PLAIN')dnl

define(`confAUTH_MECHANISMS', `EXTERNAL GSSAPI DIGEST-MD5 CRAM-MD5 LOGIN PLAIN')dnl

 

2. 아래 처럼 수정 

DAEMON_OPTIONS(`Port=smtp,Addr=127.0.0.1, Name=MTA')dnl

(수정 후)

DAEMON_OPTIONS(`Port=smtp,Addr=0.0.0.0, Name=MTA')dnl



3. m4 명령으로 sendmail.cf 생성

cd /etc/mail/ 

m4 sendmail.mc > sendmail.cf


4. sendmail 데몬 재시작

/etc/init.d/sendmail restart


5. saslauthd 데몬 시작 또는 재시작

/etc/init.d/saslauthd restart


6. setup 명령어를 이용해서 서비스에 saslauthd 등록

# 맨날 setup 명령어 치면 깨져서 나오므로

export LANG=C 

setup 

   System services 에서 엔터

   커서를 saslauthd 에 위치 시키고 스페이스 키를 누른다. 이때 *로 되어 있으면 안눌러도 된다.


여기서 오늘의 삽질은 4번까지는 잘 했다 T.T 테스트도 열심히 했다. 5번이 안되어 있어서 T.T 외부 프로그램에서 로그인이 안됬다 T.T


다들 즐거운 주말 되십시오.



반응형
반응형

가끔 있는 일이라 맨날 인터넷만 뒤져서 사용하다가


오늘은 그냥 적어 둡니다.


우선 root 유져로 하셔야 됩니다. ^^;;


mkdir -p /mnt/cdrom


mount -o loop iso파일명 /mnt/cdrom


입니다.


출처는 : http://www.cyberciti.biz/tips/how-to-mount-iso-image-under-linux.html



반응형
반응형

다른 리눅스는 안될지도 모릅니다. ^^;; 


레드햇 계열에서 가능합니다.(RETHAT EL, CentOS, etc)


1. vi /etc/sysconfig/network


위 파일을 열어서 HOSTNAME 값을 원하는 값으로 변경합니다.


2. /etc/init.d/network restart


또는 reboot ^^;


그리고, 화면에 적용 되지 않는 것은 재로그인 하시면 적용 됩니다.


감사합니다.


저는 간단하게 적었습니다만 제가 참조한 문서는


https://www.linux.co.kr/home/lecture/index.php?cateNo=&secNo=&theNo=&leccode=283


에서 참조를 했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Apache나, Tomcat 같은 웹서버나, WAS 서버를 공개 소프트웨어를 사용하게 되면 돈이 절약 됩니다.


하지만, 오픈소스 확산에 걸림돌로 작용하는 보안 패치문제는 걱정이 됩니다.


오픈 소스 패키지의 특정 버젼에서 버그를 일으키는 현상을 해커가 알고 있다면 그 홀(구멍)을 통해서 해킹을 할 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Java로 웹 서비스할때 많이 쓰이는 apache Tomcat이 오류를 내보낼때 Tomcat의 버젼을 내보지 않도록 하는 설정에 대해서 말씀 드리겠습니다.


톰캣에서 오류를 일으켜 보면 아래와 같은 화면을 만날 수 있습니다.



위 화면에서는 Tomcat의 버젼이 표시 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해당 버젼의 보안 취약점을 이용해서 공격이 들어 올 수도 있겠죠 ^^;;


1차적으로 브라우져를 통해서가지 아니고 curl 같은 툴을 통해서 확인 하는 부분 부터 해결 책을 알아 보면


<Connector port="8080" protocol="HTTP/1.1"

connectionTimeout="20000"

redirectPort="8443" useBodyEncodingForURI="true"

URIEncoding="UTF-8"

server="apache" />

 

<Connector port="8009" protocol="AJP/1.3" redirectPort="8443" server="apache" />


위 문서 처럼 Connector 태그를 찾아서 server="apache" 라 써 주시면 됩니다.


curl -i 도메인 주소:포트 하시면


apache만 나오는 것을 보실 수 있을 것입니다.


그리고 웹에서의 해결책은 


cd [톰캣 설치 위치]/lib/org/apache/catalina/util


vi ServerInfo.properties

열어 보시면 아래와 같이 되어 있을 겁니다.

Server.info=Apache Tomcat/톰캣 버젼

server.number=톰캣 버젼

server.built=빌드 날짜


아래와 비슷하게 수정하시면 됩니다.

server.info=Apache Tomcat

server.number=

server.built=

그리고, 저파일이 저위치에 없을 경우에는 


cd [톰캣 설치 위치]/lib/


하시면


catalina.jar 파일이 있습니다.


이파일을 압축을 푸시면 해당 폴더가 생깁니다.


jar xf catalina.jar


그리고 압축을 해제한 jar 파일은 다른곳에 백업해 두십시오.


mv catalina.jar ../catalina.jar.bak


그리고 해당 위치에 가셔서 다시 저 작업을 수행한 후에


톰캣을 재실행하시면 됩니다.


그리고 다시 동일한 오류를 일으켜 보시면



위와 같이 보이시면 해결 된 것입니다. ^^;;


감사합니다.



반응형
반응형
정말 오랫만에 LINUX 카테고리에 글을 작성합니다.

레드햇 엔터프라이즈 리눅스 6.0 이상에서 기본 메일 서버가 Postfix 입니다.

Postfix 어제 하루종일 삽질해서 적응이 안됩니다. ^^;;

그런데 편리한 기능이 있더군요

제가 구성해야 되는 플랫폼은 방화벽 때문에

WAS + WEB으로 구성 되어 있고

WAS에서 메일을 전송하지만, WEB 하고만 25번 포트가 툴려 있습니다.

WEB 서버는 25번 포트가 열려 있습니다.

이러한 구성 때문에 

일단 Postfix의 

relayhost = 
옵션을 처음 사용해 봤습니다.

/etc/postfix/main.cf 

를 열어서

relayhost = 에다가 저희 웹서버의 아이피를 주었습니다.

그리고,

Web 서버도 6.0이어서 T.T

포스트 픽스 웨부에서 릴레이 허용할려고 여러가지 작업을 해봤지만, 안되더라구요 T.T

그래서, Sendmail을 가지고 작업을 했습니다.

Postfix를 제거를 하고요

rpm으로 Sendmail 최신 버젼을 설치 했습니다.

끝으로 access 파일을 수정 했습니다.

Connect:저희 WAS 서버 주소                         RELAY

요렇게 해주고

makemap hash access < access

명령어로 access DB를 업데이트 해주었습니다.

끝으로 

/etc/init.d/sendmail restart 명령어를 통해서 

sendmail 재시작을 했습니다.

메일이 잘 나가더라구요

제가 구닥다리라서 그런지 T.T

Postfix 외부 릴레이는 왜 안될까요 T.T

mynetworks 하고 많은 것들을 건들었는데 말이죠 T.T

감사합니다.




반응형
반응형

#!/usr/bin/ksh

HOST=www.yourhost.co.kr
USER=userid
PASSWD=password
x=$1;
target=/home/yourdirect/

exec 4>&1
ftp -nv >&4 2>&4 |&

print -p open $HOST
print -p user $USER $PASSWD
print -p mkdir $1
print -p cd $1
print -p put $2

사용법
ksh  파일이름.ksh 생성할폴더 파일이름

이렇게 하면 target 폴더 내에

생성할폴더를 만들고 파일이름 파일을 등록 합니다.


반응형
반응형
SENDMAIL 의 가상 계정은

/etc/mail/virtualtable

를 수정하고 업데이트 시켜 주면 된다.

호스팅 하는 곳에 가면 webmaster@도메인

으로 많은 계정을 발급해 주는 사람들을 보았을 것이다.

이경우에 위의 파일을 수정한다. 아래와 같이


이메일@도메인 [탭] 머신의 실제 아이디

ex) webmaster@userdomain.co.kr kayaprince
webmaster@mydomain.co.kr kjh0523

이렇게 작성하고 파일을 저장하고 빠져 나와서

반드시 다음은 해 주어야 한다.

makemap hash virtualtable < virtualtable

그리고 메일 서버를 리스타트 해준다.

/etc/rc.d/init.d/sendmail restart
반응형
반응형
음 보통 저건 link를 안걸어 주면 나는 오류 입니다. ^^;;

그런데

LINUX에서 순서가 매우 중요한 것 같습니다. T.T

gcc test.c

test.c:(.text+0x49): undefined reference to
test.c:(.text+0x71): undefined reference to
test.c:(.text+0x82): undefined reference to
test.c:(.text+0xaa): undefined reference to
test.c:(.text+0xbb): undefined reference to
test.c:(.text+0xe3): undefined reference to
test.c:(.text+0xf4): undefined reference to
test.c:(.text+0x130): undefined reference to
test.c:(.text+0x141): undefined reference to
test.c:(.text+0x17d): undefined reference to
test.c:(.text+0x18e): undefined reference to
test.c:(.text+0x1ca): undefined reference to
test.c:(.text+0x1db): undefined reference to
test.c:(.text+0x217): undefined reference to
test.c:(.text+0x228): undefined reference to
test.c:(.text+0x27d): undefined reference to
test.c:(.text+0x28e): undefined reference to
test.c:(.text+0x2d3): undefined reference to
test.c:(.text+0x30c): undefined reference to

일단 뒤에 함수명은 이유가 있어서 제끼고 ㅋㅋㅋ

to 뒤에는 함수명이 옵니다. ^^;;






네이버를 열심히 뒤지다 보니

저 함수들을 포함하는 라이버러리가 없다 그래서

T.T

gcc -lmylib test.c

이렇게 했습니다.

그래도 똑같이 나는 겁니다.

gcc -lmylib -L/usr/local/lib test.c

이렇게 해주라 그래서 또 해봤는데 똑같은 오류가 납니다. ^^;;

그래서 또 네이버와 구글을 전전 긍긍하다가

KLDP에서

순서 이야기를 살짝 본 기억이 나서 T.T

gcc test.c -lmylib -L/usr/local/lib

이렇게 했습니다.

T.T

a.out가 나옵니다. 흑흑흑

gcc -o test.exe test.c -lmylib -L/usr/local/lib

이렇게 하시면

a.out가 아니고

test.exe로 실행 파일을 생성 할 수 있습니다.

여튼 일단 제가 원하는 것을 컴파일을 했구용 ^^;;

이제 퇴근 하렵니다. ^^;;


반응형
반응형
음 회사 NAS에 Mount 할 일이 있어서 인터넷을 뒤졌습니다.

네이버에서 검색을 진행 했구요.

검색 결과 ^^;;

날탱일기라는 사이트에서 아래글을 발견 할 수 있었습니다.

상세한 정보는 아래글을 참조 하십시오 ^^;;

http://nalnari.tistory.com/183

전 맨날 까먹어서 ^^;;

mount -t cifs -o username=xxxxx,password=xxxxx //xxx.xxx.xxx.xxx/Pcbackup mnt

P.S 오랫만에 리눅스 카테고리에 글을 적네용 ^^;;








반응형
반응형

 

이번에 참여해서 진행하고 있는 프로젝트 요구사항 중에 하나가

 

보안서버를 적용 하는 것이었습니다.

 

그런데,

 

몇가지 이슈 때문에 전체에 SSL을 적용하는 것으로 했습니다.

 

몇가지 우여 곡절 끝에

 

Application이 있는 서버와 이미지 서버를 분리 하기로 했습니다.

 

그런데 이미지서버가 주기적으로 매우 느려 지는 현상을 발견 했습니다.

 

그래서 아파치 설정을 변경 하던 중에

 

#SSLSessionCache        none
#SSLSessionCache        shmht:/usr/********/apache2/logs/ssl_scache(512000)
#SSLSessionCache        shmcb:/usr/********/apache2/logs/ssl_scache(512000)
SSLSessionCache         dbm:/usr/********/apache2/logs/ssl_scache
SSLSessionCacheTimeout  300

 

이렇게 설정 되어 있는 것을 발견 했습니다.

 

Timeout도 바꿔 보고

 

KeepAliveTime 등도 바꿔 봤지만

 

소용이 없었는뎅

 

위의 것을 발견 하고는

 

그 주기가 5분이라는 것을 알았습니다. ^^;;

 

SSL 세션 캐쉬를 남기는 시간 5분마다 느려졌던거죠 T.T

 

그래서

 

젤위에 있는 none를 주석을 풀고

 

밑에 있는 두줄

 

시간 설정과 캐쉬 파일 설정을

 

주석 처리 했습니다.

 

그리고 아파치를 다시 켜서

 

스트레스 테스트를 진행 했는데

 

끄떡 없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저거 발견하기 전에 삽질한걸 생각하면 T.T

 

다른 분들은 이런 삽질을 좀 안했으면 해서 적어 봅니다.

 

좋은 하루 되십시오.

 


 

이 글은 스프링노트에서 작성되었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일반적으로 ab https://yourdomain.com

 

이렇게 하면 

 

 SSL not compiled in; no https support

 

메시지를 만나게 됩니다.

 

그래서 열심히 뒤졌습니다. ^^;;

 

기본적으로 컴파일 된 ab는 SSL을 지원하지 못한다고 되어있더라구용

 

그럼 어떻게 컴파일 해야 되는지를 조사하게 되었습니다.

 

SSL을 컴파일 할때 기본적으로

 

./configure --with-ssl --with-mpm=prefork --prefix=/home/ase/non/install --with-mods-shared=most ./configure --with-ssl --with-mpm=prefork --prefix=/home/ase/non/install --with-mods-shared=most

 

위와 비슷한 컴파일 옵션을 줄겁니다.

 

이렇게 하면 아파치로  SSL 서비스를 할 수 있지만

 

ab로 ssl 테스트는 진행 할 수 없습니다.

 

./configure --with-ssl --enable-ssl --with-mpm=prefork --prefix=/home/ase/non/install --with-mods-shared=most

 

컴파일 하실때 옵션을 위와 같이 주시면

 

ssl이 테스트 가능한 ab가 컴파일 이 됩니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enable-ssl 을 추가 해주는 것입니다.

 

아파치 configure의 도움말을 보면

 

--enable-ssl            SSL/TLS support (mod_ssl)

 

요렇게 되어 있답니다.

 

이제 다시

 

./ab  https://yourdomain.com

 

해보니깐

 

일반적으로 http에서 내보내는 메시지와 동일한 값을 보여 주네용 ^^;;

 

모두들 좋은 하루 되십시오..

 

 참고로 제가 테스트 해본 아파치 소스는 apache 2.1.13

 

입니다.

 

그리고

 

잘 아시겠지만 혹시나 해서용

 

yourdomain.com 은 그냥 제가 문서적을때 적는겁니다.

 

자기자신의 도메인이나 테스트하려고 하는 적당한 도메인으로 변경 하십시오 ^^;;

 

 앗 출처...

 

제가 참조한 곳은 

 

아래 주소 입니다.

 

http://www.linuxquestions.org/blog/zhjim-147126/2009/8/24/apache2.2-ab-with-ssl-2204/

 

 

이 글은 스프링노트에서 작성되었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dircmp [ -d ] [ -s ] [ -w num ] Directory1 Directory2

 

 옵션 설명

 -d 각각의 공통 파일 이름에 대해 서로 다른 파일 내용의 두 버전을 표시합니다. 표
시 형식은 diff 명령에서 사용된 형식과 동일합니다.

-s 동일한 파일의 파일 이름은 나열하지 않습니다.

-w num 출력의 폭을 num 개의 문자로 변경합니다.

 

diff -r 명령은 dircmp 명령과 유사한 기능을 제공합니다

 

출처 : linux에서 man dircmp

 

음 파일 비교는 diff로 하고 있는데 디렉토리 사이가 비교가 안되어서^^;;

 

찾아봤습니다.

 

dircmp라는 명령어가 있네요.

 

 

 

 

 

이 글은 스프링노트에서 작성되었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SENDMAIL 의 가상 계정은

/etc/mail/virtualtable

를 수정하고 업데이트 시켜 주면 된다.

호스팅 하는 곳에 가면 webmaster@도메인

으로 많은 계정을 발급해 주는 사람들을 보았을 것이다.

이경우에 위의 파일을 수정한다. 아래와 같이


이메일@도메인 [탭] 머신의 실제 아이디

ex) webmaster@userdomain.co.kr kayaprince
webmaster@mydomain.co.kr kjh0523

이렇게 작성하고 파일을 저장하고 빠져 나와서

반드시 다음은 해 주어야 한다.

makemap hash virtualtable < virtualtable

그리고 메일 서버를 리스타트 해준다.

/etc/rc.d/init.d/sendmail restart

이 글은 스프링노트에서 작성되었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1호점에서 이관해왔습니다.

리눅스에서 포맷 하기

제가 자주쓰질 않아 까먹어서 ㅋ ㅋ ㅋ 적어 놓습니다.

명령어가 한참을 생각했는데 기억이 안났다는

T.T

mkfs.*

파일을 사용합니다.

*에는 여러가지 파일 시스템이 올 수 있습니다.

ext2, ext3, reiserfs 등등등

반응형

'리눅스(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NUX] dircmp - 서로다른 디렉토리 비교하기  (0) 2009.08.25
Linux - SEND MAIL 가상 계정 추가하기  (0) 2009.07.26
tar 분할 압축하기  (0) 2009.06.11
RPM 사용법 2  (0) 2009.06.10
RPM 사용법 1  (0) 2009.06.10
반응형

1호점에서 가져왔습니다.

제목그대로 입니다...어떤 이유에서건 가끔가다 큰화일을 분할해야할때가 있을떼
유용합니다...
$split -b 300k
하면 300k씩화일부할됩니다...
man 페이지에보면 화일이름까지 정할수 있습니다...

합칠때..
$cat 분활된 화일이름 > 합칠화일이름
예>


만약 linux.tar.gz 1G가 있을때..
$split -b 100m
하면 xxa xxb xxc 이런식으로 100메가씩나눠집니다...
합칠때..
$cat xx* > linux2.tar.gz 하면 화일이 합쳐집니다...

더자세한건 man split


출처 : http://linux-sarang.net/board/?p=read&table=tip&no=4258&page=&o[at]=s&o[sc]=t&o[ss]=%BA%D0%C7%D2&o[st]=a

출처는 적수네 입니다. 현재 리눅스 사랑넷이 동작하지 않고 있습니다.

역쉬 답은 리눅스 사랑넷에 ㅋㅋㅋ

반응형

'리눅스(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nux - SEND MAIL 가상 계정 추가하기  (0) 2009.07.26
리눅스에서 포맷 하기  (0) 2009.06.15
RPM 사용법 2  (0) 2009.06.10
RPM 사용법 1  (0) 2009.06.10
웹서비스 로그 분석 툴 - Webalizer (2)  (2) 2009.05.30
반응형
1호점에서 가져왔습니다.

이문서를 보시기 전에 <RPM 사용법>을 먼저 참조 하시기 바랍니다.

이문서는 위 문서에 대해서 제가 필요로 하는 다른 부분을 말씀 드리는 것입니다.

요즘 리눅스는  x86형태만 있는 것이 아니고 x86_64 등 다양한 리눅스가 버젼별로 존재합니다.

저 x86_64라는 놈이 좀 이상해서 32비트 패키지와 64비트 패키지를 모두 가지고 있습니다.

이때문에

rpm -e mysql

이렇게 하면

error: "mysql-4.1.12-3.RHEL4.1" specifies multiple packages

위와 같은 오류를 뱉어 냅니다.

이때 활용하는 방법입니다.

구글신에서 열심히 뒤졌습니다. 1년전에 분명이 사용한 방법인데

기억이 안나서 ㅎㅎㅎ

/etc/rpm/macros.local

위 파일을 만들어 줍니다.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_query_all_fmt %%{name}-%%{version}-%%{release}.%%{arch}

그렇게 해놓고

rpm -qa | grep mysql

이렇게 해보시면

libdbi-dbd-mysql-0.6.5-10.RHEL4.1.x86_64
mysqlclient10-3.23.58-4.RHEL4.1.i386
mysql-4.1.12-3.RHEL4.1.i386
mysqlclient10-3.23.58-4.RHEL4.1.x86_64
mysql-4.1.12-3.RHEL4.1.x86_64

위와 같이 명확한 버젼이 나타납니다.

풀 패키지명을 다 써주시면 제거가 됩니다.

또다른 한가지는

--allmatches                     remove all packages which match <package>
                                     (normally an error is generated if
                                      <package> specified multiple packages)
위의 옵션을 사용하는것입니다.

저는 위의 옵션 보다는 앞서 말한 파일 변경법을 선호 하고 권장합니다.

왜냐면 명확하게 제거 할 수 있기 대문입니다.

그래서 실제로 mysql 패키지를 지울때는

rpm -e --nodeps mysql-4.1.12-3.RHEL4.1.i386

저렇게 지우시면 됩니다.


반응형

'리눅스(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에서 포맷 하기  (0) 2009.06.15
tar 분할 압축하기  (0) 2009.06.11
RPM 사용법 1  (0) 2009.06.10
웹서비스 로그 분석 툴 - Webalizer (2)  (2) 2009.05.30
리눅스는 무엇인가?  (0) 2009.05.29
반응형

1호점에서 가져 왔습니다.

우선 RPM은 미국의 레드햇이라는 리눅스 회사에서 공개한 패키징 시스템을 말 합니다.

1. 설치 하기

rpm -ivh 설치할 패키지명.rpm

의존성 에러가 있을 경우 설치

rpm -ivh --force 설치할 패키지명 (단 설치한 패키지가 제대로 동작할지는 장담할 수 없습니다. 의존성 에러는 다 해결해 주시는것이 좋습니다. ^^;)

2. 업그레이드

rmp -Uvh 업그레이드할 패키지명.rpm

3. 제거

rpm -e 제거할 패키지명

의존성 에러가 날 경우 제거

rpm -e --nodeps 제거할 패키지명

4. SRPM 컴파일

rpm --rebuild 펄파일 할 패키지명.src.rpm

이때 컴파일 된 패키지는 

/usr/src/redhat/BUILD (여기 없으면 /usr/src/redhat/RPMS/* 디렉토리를 살펴 보십시오.)

에 들어가 있습니다.

2009/01/18 01:42 2009/01/18 01:42

반응형

'리눅스(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tar 분할 압축하기  (0) 2009.06.11
RPM 사용법 2  (0) 2009.06.10
웹서비스 로그 분석 툴 - Webalizer (2)  (2) 2009.05.30
리눅스는 무엇인가?  (0) 2009.05.29
리눅스 강의 1  (0) 2009.05.16
반응형
 1호점에서 퍼왔습니다. ^^;;

앞 페이퍼를 작성하고, 너무 많은 시간이 흐른것 같아 독자들에게 미안함을 감추지 못하면서.


요즘 정신없이 살아가고 있고, 슬럼프에 빠지기도 하면서 이를 극복하고자 노력 하고 있습니다.


우선 필자도 가물 가물 하여 앞 페이퍼를 보고, 이번에 새로 들여 놓은 서버에다가 방금 Webalizer를 설치 했습니다.


우선 웹얼라이즈를 필자의 설명대로 인스톨에 성공 했다면


설치 디렉토리를 유심히 살펴 보면


sample.conf 라는 파일이 하나 있을 것이다.


이 파일을 수정한다.


각종 옵션을 이용해서 웹얼라이즈를 사용할 수도 있지만


여러분들의 편의를 위해서 위 파일을 수정하고 다른 이름으로 저장하여 사용한다.


그리고, 또 한가지 필자의 한가지 습관을 알려 주고자 한다.


우선, sample.conf 파일을 살펴 보면


#LogFile        /var/lib/httpd/logs/access_log

위와 같이 주석 처리된 것을 볼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주석을 풀고 해당 로그 파일을 적는다.


그리고 또 아래를 살피다 보면


#LogType        clf


위와 같은 주석을 볼 수 있을 것이다.


이도 역시 주석을 풀고 각자의 방식에 맞게 셋팅 한다.


아파치의 로그 기록 방식에 따라 달리 기록 한는데


   CustomLog logs/dummy-host.example.com-access_log common

위와 같이 마지막으로 common이라고 적혀 있을 경우


주석을 그대로 두어도 된다.


또 아래로 내리다 보면


#OutputDir      /var/lib/httpd/htdocs/usage

위와 같은 주석이 나올 것이다.


이는 로그를 분석한구 보고 데이타를 어디가 넣을 것인가 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독자들의 서버에 맞게 적당하게 적어 둔다.


더 많은 주석과 옵션이 있으나, 필자는 필 수 항목들인 위의 항목만을 설명하고


분석을 해보겠다.


참고로 비록 영어이긴 하나, 주석이 잘 처리 되어 있음으로 한번쯤 눈여겨 읽어 보기 바란다.


이제 위 파일을 저장하고 빠져 나온다.


그리고 sample.conf 를 적당한 디렉토리에 위치 시킨다.


필자의 습관을 여기서 이야기 하고 넘어 가고자 한다.


필자의 습관은 다른 리눅서들도 그럴지 모르겠지만, Home과 /usr/local/ 파티션을 최대한 충분이 잡는 것이다.


그리고, 대부분의 자료는 저 두부분에 적절히 나눠서 배치 한다.


필자는 이번에 /usr/local/webalizer 이라는 폴더를 만들 것이다.


저곳에는 실행 파일이 들어가지 않는다. conf 파일을 넣을 것이다.


그래서 번거럽긴 하지만 저속에 다시 conf 파일을 생성하고자 한다.


결론적으로 /usr/local/webalizer/conf 라는 폴더에 설정 파일이 놓이게 된다.


이제 실제로 다음과 같이 명령을 내린다.


cp sample.conf /usr/local/webalizer/conf/분석할사이트도메인.conf


그럼 이제 분석할 준비는 다 되었다


필자의 글대로 웹얼라이즈를 설치 하였다면


독자들은 다음 명령을 내림으로써, 결과를 얻을 수 잇을 것이다.


webalizer -c /usr/local/webalizer/conf/분석할사이트도메인.conf


필자의 생각에 독자들은 한 사이트를 관리 할 수도 있지만, 여러 사이트를 관리 한다는 전제 하에서 위와 같이 설정을 파일을 만들어서 분석 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이제 분석된 로그를 살펴 보자


http://자신의 도메인명/로그페이지/

위와 같이 치면 웹얼라이즈가 분석한 로그를 볼 수 있을 것이다.


필자가 분석한 웹페이지를 보여 주고 싶지만


보안상 보여 주지 않는다.


이제 또 언제가 될진 모르겠지만,


또 다른 오픈소스 로그 분석기인 AWSTAT를 가지고 다음 페이퍼에서 찾아뵙겠다.


^^;;


그럼 뜻 깊은 한주를 맞이 하길 바라면서.


Happy Linuxing With 가야태자 ^^;


반응형

'리눅스(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RPM 사용법 2  (0) 2009.06.10
RPM 사용법 1  (0) 2009.06.10
리눅스는 무엇인가?  (0) 2009.05.29
리눅스 강의 1  (0) 2009.05.16
[SHELL SCRIPT] 원하는 변수에 날짜 대입 하기  (0) 2009.03.10
반응형
요즘 1호점에 있는 글을 옮기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글을 보다가 Upgrade가 되어야겠다는 생각이 들어서 찾아 봤습니다. ^^;;


원래 제가 가지고 있는 이미지 입니다.


저는 한 2.6에 관한 이미지가 있을 줄 알고 찾았었는데

아직 2.4네요 ㅎㅎ

리눅스는 자유다
반응형
반응형

1호점에서 옮겨 온 자료 입니다.

이게 아마 제가 적은 최초의 리눅스 관련 문서 인것 같네요 ^^;;

도움이 될지는 모르지만 서류정리 하다가 나와서 다시 쳐 봅니다. ^^;;

리눅스를 사용하는 이유

리눅스는 공짜라는 생각을 가진 사람들이 많다. 특히 대한민국에 하지만 요즘은 리눅스도 상용화 되어 있다. 하지만, 그 리눅스를 받아 쓸 수 있다는 점에서 공짜라는 생각도 든다.

리 눅스를 사용하는 원래의 목적은 저것이 아니다. 보통의 유닉스는 최소한 몇천만원 단위를 호가한다. 하지만 리눅스라는 운영체제는 잡지 부록, FTP 사이트, 회사방문, 거리 배포 또는 저렴한 가격(MS의 운영체제에 비해서)으로 구입 할 수 있다.
유닉스 에서의 관리자의 강력한 기능을 만끽하지 못한다. 요즘 대학교에서는 저런 기회가 많겠지만 말이다. 하지만, 리눅스를 사용하면 유닉스와 똑같은 기분을 낼 수 있다. 자신의 PC에 리눅스를 깔고 root 유져로서의 몇가지 명령어들을 익히면 말이다.

1. 리눅스 서버 관리자의 기초

1) 로그인

리눅스 또는 다른 운영 체제를 사용하더라도, 컴퓨터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컴퓨터를 켜거나 그 컴퓨터에 원격으로 접속해야 한다. 그 접속하는 과정을 로그인 이라고 한다.
특히 리눅스에서는 이 로그인 과정이 중요하다.

리눅스 머신에 접속하면 보통 다음이 뜨고 _(커서)가 깜빡이고 있다.

logn:_

여기에 S/A(System Administrator)로 부터 발급 받은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넣어 로그인 한다.

보 통 콘솔과 터미널로 불리는 기계들이 있다. 요즘은 일반 컴퓨터도 터미널로 부른다. 콘솔은 기계 자체의 화면을 말한다. 옛날에 서버실에 가보면 써버 한대에 모니터가 있고 그 주위에 모니터와 키보드가 수십에서 많게는 수백대가 존재한다.

이것이 바로 터미널이다. 그리고 또한 컴퓨터가 두개 있다. 접속하는 리눅스를 터미널 접속 받는 리눅스를 콘솔로 생각하면 된다. 또한 윈도우즈를 터미널 리눅스를 콘솔로 생각해도 된다.

일단 리눅스 콘솔에서 root로 접속해 보자 그러면 접속이 될 것이다.

하지만 다른 컴퓨터에서 telnet으로 접속해서 root 로 접속해보자 그러면 일반적으로 접속이 안될 것이다. 그 이유는 root라는 유져가 너무나 막강한 권한을 가졌기 때문에 밖에서는 접속을 못하도록 해 둔 것이다.

그리고, 콘솔에서도 되도록이면 root 유져로 접속하지 않기를 바란다. 왜냐면 실수해서 리눅스를 지워 버리거나 중요한 데이타를 함부로 지울 수도 있으니까.

사용자를 추가해서 사용하는 것이 옳다 하지만 아직 사용자 추가를 배지 않았음으로 root 유져로 한다.

2) 로그아웃

로구아웃은 로그인의 반대 개념이다. 즉 접속을 끊는 것이다.
그 명령으로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logout
exit
콘솔에서는 CTRL + D 키 조합을 사용해도 된다.

자신이 자리를 뜰때는 꼭 로그아웃을 해 두기를 바란다.

3) 컴퓨터 켜고 끄기

컴퓨터를 켜려면 그냥 파워 버튼을 눌러 주면 된다. ^^; 그리고 혹쉬나 다중 운영체제를 사용한다면 리눅스를 한번 중간에서 선택해 준다.

그리고 컴퓨터를 끌때는 MS의 운영체제 처럼 컴퓨터 끄기 명령어를 내려 준다.

도스 시절의 PARK 윈도우즈의 시스템 종료 명령 등과 비슷한 명령이다.

직접적인 명령어는 halt를 사용하면 된다.

그렇게 하면 맨 마니막에 system halted 라는 메시지가 뜰때까지 기다렸다가 컴퓨터 전원을 내린다.

그리고 리붓을 원한다면 reboot 명령을 사용한다.

여러가지 옵션을 사용하고 싶으면 shutdown 명령을 사용하라

shutdown -h now --> halt 명령어와 동일

shutdown -r now --> reboot 명령어와 동일

뒤에 now 옵션을 여러가지로 바꿀 수 있다.

now 즉시 실행하라.

+m 몇분 뒤에 실행 하라.

hh:mm 몇시 몇분에 실행 하라.

등을 사용 할 수 있다.

위의 명령어들 now 제외 ^^ 을 취소 하려면

shutdown -c 명령을 사용하면 된다.

4) 사용자의 추가

리눅스의  사용자 정책은 다음 두가지를 가지고 있다.

user group

위의 두가지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있다.

와우 리눅스는 레드햇 리눅스의 사용자 정책을 그대로 따록 있는데 편안한 사용자 추가 이다.

사용자를 추가하는 방법은

/etc/passwd 파일을 변경해주는 방법과 --> 설명만 해 주겠다.

adduser

useradd

명령을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단순히 adduser userid 하면 사용자가 생성된다.

좀더 복잡한 옵션을 사용하려면

useradd 명령을 사용하라.

그 옵션들은 설명하지 않겠다.

아직 추가가 끝난 것이 아니다. 다음의 사용자 비밀번호 변경을 끝내야 사용자 추가가 끝난다.

5)사용자 비밀번호 변경

adduser 명령으로 생성한 user에 비밀번호를 준다.
passwd 명령을 사용하는데 단순히 passwd 명령을 사용하면 사용자의 패스워드를 변경 할 수 있다. 그리고, passwd userid 를 사용하면 (root 유져 또는 root 그룹의 유져만 사용하능하다.) user의 패스워드를 변경 또는 생성해 줄 수 있다. 그러면 이제 사용자 추가가 끝났다.

6) 사용자 삭제

사용자 삭제는 다음과 같이 한다.
userdel userid
이렇게 하면 사용자 디렉토리와 메일의 내용은 그대로 있다.

하지만

userdel -r userid  하면

사용자의 디렉토리와 메일도 함께 사라진다.

다시 치고 보니 정말 기초 적인 내용이네요 하지만 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

^^;


반응형

+ Recent posts